logo
회원가입 로그인
제도 ▼
소개 대상 절차 관련법규 사례집/가이드북
알림마당 ▼
공지사항 불법광고신고 자주하는 질문 Q&A 심의사례 공유
광고심의 ▼
광고심의 제품명광고 심의일정 상담예약
질환정보제공 ▼
소개 자문 신청 자문일정 자사홈페이지 등록
제도
  • 소개
  • 대상
  • 절차
    • 홈페이지 가입 절차
    • 광고심의 신청 절차
  • 관련법규
    • 약사법
    • 약사법 시행령
    • 의약품 등의 안전에 관한 규칙
    • 수수료 규정
    • 방송광고심의에 관한 규정
    •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
    • 의약품광고 및 전문의약품
      정보제공 가이드라인
    • 의약품광고 사전심의규정
    • 의약품 과대광고 등 세부 심의기준
    • 청탁금지법
  • 사례집

약사법

[시행 2018.4.25.] [법률 제14926호, 2017.10.24., 일부개정]


제5절 의약품등의 광고


제68조(과장광고 등의 금지)  ①의약품등의 명칭·제조방법·효능이나 성능에 관하여 거짓광고 또는 과장광고를 하지 못한다.
②의약품등은 그 효능이나 성능에 관하여 의사·치과의사·한의사·수의사 또는 그 밖의 자가 보증한 것으로 오해할 염려가 있는 기사를 사용하지 못한다.
③의약품등은 그 효능이나 성능을 암시하는 기사·사진·도안, 그 밖의 암시적 방법을 사용하여 광고하지 못한다.
④의약품에 관하여 낙태를 암시하는 문서나 도안은 사용하지 못한다.
⑤제31조제2항·제3항 또는 제42조제1항에 따른 허가를 받거나 신고를 한 후가 아니면 의약품등의 명칭·제조 방법·효능이나 성능에 관하여 광고하지 못한다.
<개정 2007.10.17.>
⑥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의약품을 광고하여서는 아니 된다. 다만, 「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」 제2조제2호부터 제12호까지의 감염병의 예방용 의약품을 광고하는 경우와 의학·약학에 관한 전문가 등을 대상으로 하는 의약전문매체에 광고하는 경우 등 총리령으로 정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. <신설 2017.10.24.>
1. 전문의약품
2. 전문의약품과 제형, 투여 경로 및 단위제형당 주성분의 함량이 같은 일반의약품
3. 원료의약품
⑦의약품등의 광고 방법과 그 밖에 필요한 사항은 총리령으로 정한다. <개정 2008.2.29., 2010.1.18., 2013.3.23., 2017.10.24.>

제68조의2(광고의 심의)  ① 의약품 제조업자·품목허가를 받은 자 또는 수입자가 그 제조 또는 수입한 의약품을 광고하려는 경우에는 총리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의 심의를 받아야 한다. <개정 2013.3.23.>
②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은 제1항에 따른 의약품 광고심의에 관한 업무를 제67조에 따라 설립된 법인에 위탁할 수 있다. <개정 2013.3.23.>
③ 제1항에 따른 광고심의의 절차와 방법, 심의 결과에 대한 이의신청, 심의 내용의 변경과 심의 결과의 표시 등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총리령으로 정한다.
<개정 2011.6.7., 2013.3.23.>
[본조신설 2007.10.17.]
  • 개인정보보호정책
  • 서비스이용약관
  • 이메일주소 무단수집거부
  • 오시는길
logo

(06666) 서울특별시 서초구 효령로 161(방배동) 한국제약바이오협회

광고심의담당: 02-6301-2143, 2145 ~ 47 / 세금계산서 담당: 02-6301-2123

COPYRIGHT@2014 KPBMA, ALL RIGHTS RESERVD CONTACT US FOR MORE INFORMATION